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임신 & 출산 & 육아

밤마다 깨서 우는 아이, 혹시 야경증? 원인과 대처법 알아보기

by 우아릴리 2025. 3. 3.
728x90

유아기 야경증(Night Terror)은 어린이에게 나타나는 수면 장애 중 하나로, 부모에게 큰 걱정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유아기 야경증은 깊은 수면 단계에서 갑자기 비명을 지르거나 두려워하는 반응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일반적인 악몽과는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아기 야경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아기 야경증

 

1. 유아기 야경증이란? 악몽과의 차이

 

1-1. 유아기 야경증이란?


유아기 야경증은 비REM(Non-REM) 수면 단계에서 발생하는 수면 장애로, 아이가 갑자기 공포감을 보이며 깨어나는 증상입니다. 유아기(1~7세)에서 흔히 발생하며, 대부분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1-2. 유아기 야경증과 악몽의 차이

 

- 유아기 야경증 : 깊은 수면(비REM) 중 발생 > 깨어나도 기억하지 못함

- 악몽 : 꿈를 꾸는 단계(REM)에서 발생 > 깨어나면 꿈 내용을 기억함

유아기 야경증은 아이가 눈을 뜨고도 의식이 없는 상태로 비명을 지르거나 몸을 움찔거리며 불안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2. 유아기 야경증의 주요 원인

 

2-1. 수면 부족과 불규칙한 수면 패턴


유아기 야경증은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수면 리듬이 깨질 때 더 자주 발생합니다. 낮잠 시간이 부족하거나 취침 시간이 일정하지 않으면 야경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2. 과도한 피로와 스트레스


낮 동안 지나치게 활발한 활동을 하거나, 새로운 환경(어린이집 적응, 여행, 가족 변화 등)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유아기 야경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2-3. 유전적 요인


부모가 과거에 야경증을 경험했다면, 자녀에게도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가족력이 있을 경우 유아기 야경증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2-4. 신체적 요인 (열, 감기, 성장통)


아이의 몸 상태가 좋지 않을 때(발열, 감기, 성장통 등) 수면의 질이 낮아지면서 야경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3. 유아기 야경증의 주요 증상


유아기 야견증은 부모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특징적인 증상를 보입니다.


3-1. 유아기 야경증의 대표적인 증상

 

- 잠든 후 1~3시간 내에 갑자기 비명을 지르며 깨어남
- 눈을 뜨고 있지만 의식이 없는 상태
- 심한 공포감, 울음, 땀 흘림, 심박수 증가
- 부모가 달래도 반응하지 않거나 거부함
- 깨어난 후 다음 날 기억하지 못함

유아기 야경증은 일반적으로 10~15분 정도 지속되며, 이후 다시 깊은 잠에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유아기 야경증 완화하는 방법

 

4-1. 규칙적인 수면 습관 만들기


유아기 야경증을 예방하려면 수면 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잠자리에 들기
- 낮잠 시간 조절 (너무 길지 않도록)
- 잠들기 1시간 전에는 조용한 환경 조성

 

4-2. 취침 전 편안한 분위기 조성

 

아이가 편안하게 잠들도록 하기 위해 수면 전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침실 조명을 어둡고 따뜻한 색감으로 유지
- 취침 전 활동(책 읽기, 부드러운 음악 듣기) 활용 
- TV, 스마트폰 사용 제한하여 뇌 자극 최소화


4-3. 스트레스 줄이기 

 

- 아이가 낮 동안 과도하게 피로하지 않도록 활동량 조절
-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
- 부모가 아이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스킨쉽과 대화 자주 하기 


4-4. 야경증 발생 시 부모의 대처법 

 

아이에게 야경증이 나타났을 때 부모가 차분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이를 억지로 깨우지 말고 조용히 지켜보기 
- 다치지 않도록 주변 환경 정리 
- 부드러운 목소리로 안심시키되 강제적으로 달래지 않기 
- 너무 자주 발생할 경우 소아과 전문의 상담 고려



5. 유아기 야경증을 겪고 있다면 지금 실천하세요!

 

유아기 야경증은 대부분 일시적인 증상이지만, 부모의 관리에 따라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오늘부터 실천할 수 있는 야경증 완화법

- 매일 같은 시간에 재우고 깨우기
- 잠들기 전 스마트폰, TV 멀리하기
- 편안한 취침 루틴(책 읽기, 조용한 음악 듣기) 만들기
- 스트레스 관리(부드러운 스킨십, 안정적인 환경 조성)


대부분의 유아기 야경증은 아이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하지만 너무 자주 발생하거나 아이가 극도로 힘들어 한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부터 올바른 수면 습관을 만들어 아이가 편안한 밤을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2025.03.02 - [임신 & 출산 & 육아] - 스크린 타임, 어디까지 괜찮을까? 스마트폰. 태블릿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2025.02.28 - [임신 & 출산 & 육아] - 아동발달 : 말문이 트이는 시기는 언제? 느린 아이 vs 발달 지연 차이

2025.02.27 - [임신 & 출산 & 육아] - 엄마도 힐링이 필요해! 우울한 기분을 전환하는 방법

728x90